728x90 반응형 전체 글705 삼살을 면한 사람 삼살(三煞)을 면한 사람 《한국구전설화 1 – 평북 1》에는 ‘삼살(三煞)을 면한 사람’이라는 이야기가 세 편 있다.삼살이라는 말은 무척 낯설었지만, 이야기는 전혀 낯설지 않았다.‘이야기 주머니’와 너무 비슷했기 때문이다.아니, 비슷하다기보다는 ‘이야기 주머니’의 뒷부분과 똑같은 이야기라 해도 좋을 것 같았다.‘이야기 주머니’에서 아이는 이야기들을 들을 때마다 글로 써서 주머니에 가둬두는데, 그 갇혀있던 이야기들이 삿된 것(邪)가 되어 장가가는 아이를 해치려 딸기가 되고, 샘물이 되고, 송곳이 되고 한다. ‘삼살을 면한 사람’도 마찬가지였다. 아이를 해치려는 존재가 사(邪)가 된 이야기가 아니라는 점만 다를 뿐 딸기가 되고, 샘물이 되고, 송곳이 되어 장가가는 아이를 해치려 하는 건 똑같았다.하지만.. 2025. 4. 16. 지구에서 가장 큰 발자국 지구에서 가장 큰 발자국 - 80억 명의 인간이 1명의 거인이라면롭 시어스 글/톰 시어스 그림/비룡소 이 책은 환경책이다.나는 환경문제는 심각하다고 생각하지만, 환경책을 별로 좋아하진 않는다.환경책을 보면 내가 아무리 노력해도 죄책감이 드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교훈이 앞서다 보니 딱딱하고 지루한 느낌이 들기도 하고 말이다. 하지만 이 책은 좀 다르다.표지를 보면 “환경을 살리는 기발한 상상력”이라는 문구와 함께 최재천 교수의 강력 추천이란 글자가 눈에 띈다.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책은 정말 기발하고 재밌다. “환경을 살리는 기발한 상상력”이라는 최재천 교수의 말에 적극 공감하게 된다. 이 책의 형식은 《지구가 100명의 마을이라면》(푸른숲주니어)을 떠오르게 한다. 베스트셀러를 거쳐 지금은 스테디셀러.. 2025. 4. 8. 아주 특별한 독립 빵집 이야기 아주 특별한 독립 빵집 이야기닐 패커 지음/홍한별 옮김/꽃피는책 빵 좋아하시나요?어린 시절 제가 살던 동네에는 ‘몽블랑’이라는 빵집이 있었어요. 버스 정류장 근처에 있던 그 빵집은 동네에서 유일한 빵집이었고, 저는 이곳을 자주 들락거리곤 했어요.버스를 타고 조금 가면 좀 더 고급스러운 ‘독일빵집’도 있었어요. 이곳은 저 혼자는 못 가는 곳이었어요. 그래서인지 갈 때마다 설레곤 했어요. 이곳엔 몽블랑 빵집에는 없는 빵들도 많았어요. 지금은 두 곳 모두 사라진, 추억의 빵집이죠. 가만 생각하면 예전엔 이렇게 동네마다 그 동네를 대표하는 빵집이 참 많았어요. 그런데 언제부턴가 동네 빵집을 대신해 프랜차이즈 빵집이 자리를 잡았어요. 사실 전 처음 프랜차이즈 빵집이 생겼을 땐 쉽게 들어가지를 못했어요. 초기엔.. 2025. 3. 24. 상사뱀 - 뱀이 된 사람들 이야기 뱀이 된 사람들 이야기- 상사뱀 이야기 - 사랑 때문에 뱀이 된 사람들 뱀이 된 사람들의 이야기가 있다.그 사람들이 뱀이 된 까닭은 뭘까?아주 쉽게, 단순화시켜 말하자면 ‘사랑’ 때문이다.사랑 때문에 뱀이 됐다 해서 ‘상사뱀’이라 부른다.사랑을 이루지 못해 뱀으로 환생한 것이다.상사뱀은 여자 상사뱀도 있고, 남자 상사뱀도 있다.사랑에는 남녀가 따로 없으니 당연한 일이다. 《한국구비문학대계》에는 수없이 많은 상사뱀 이야기가 전한다.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사랑이란 감정을 갖기 마련이고, 그 사랑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도 많은 탓이다. 아, 물론 이야기를 읽다 보면 사랑이 과연 무엇인가에 대해서 의문이 생기기도 한다. 사람에 따라서 이걸 과연 사랑이라 볼 수 있을지 논란이 될만한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2025. 3. 21. 당금애기 갑작스럽게 찾아온 불행에 대처하는 법- 당금애기, 제석본풀이 - 무속신화 ‘당금애기’ 이야기를 봤다. 간략한 이야기는 이렇다. 열두대문 안에서 부모님의 사랑을 듬뿍 받으며 자라던 당금애기. 그녀에게 위기가 닥친다. 아버지는 귀양 가고, 어머니는 기도 가고, 집안은 텅 비고 만다. 당금애기 곁에 남은 건 두 여종뿐이다. 그런데 어느 날 중이 나타나 시주를 청한다. 중은 꽁꽁 잠겨 있던 열두 대문을 주술로 열고 들어온다. 시주쌀은 반드시 당금애기의 명쌀독에 담긴 쌀이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것도 종을 시키지 말고 당금애기가 직접 쌀을 퍼서 직접 자신의 바랑에 담아야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바랑은 밑이 터져 있었고, 쌀은 그대로 쏟아진다. 그러자 중은 쌀알을 젓가락으로 하나하나 주워담아야 하고, 그 일 .. 2025. 2. 24. 과학책은 언제부터 읽어야 할까? # 6. 과학책은 언제부터 읽어야 할까? 수학과 과학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어서 아이를 과학적으로 가르쳐야 한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다.하지만 과학의 시대에도 신화적인 사고가 필요하다. 우르릉 쾅! 번개가 내리꽂히더니 천둥소리가 요란해졌어요. 아이는 깜짝 놀랐는지 눈이 휘둥그레져 물었어요. “무슨 소리야?”“응. 천둥 치는 소리야.”“천둥? 천둥은 왜 치는데?” 순간, 저는 마땅한 답을 찾지 못했어요. 제 지식이 짧은 탓도 있지만, 이제 겨우 만 세 돌이 지난 아이에게 설명해 주기도 애매했어요. “용이 하늘에 올라가느라고 그래. 이렇게 하늘로 올라가면 용이 비를 뿌려.” 저는 이렇게 대답을 해줬어요. “정말?”“그럼, 엄마가 오늘이 이야기를 해줬잖아. 거기서 오늘이가 용을 만났잖아. 여의주를 두 개나.. 2025. 2. 18. 이전 1 2 3 4 ··· 118 다음 728x90 반응형